[이슈+] 문 닫는 대학로 소극장들…흔들리는 연극의 메카<br /><br /><br />대학로에서 연극 한 편씩 본 기억 다들 있으실텐데요.<br /><br />'연극의 메카' 대학로를 지탱해 온 소극장들이 최근 하나둘 폐업을 결정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시민들의 문화 다양성이 줄어드는 것 아니냔 우려도 커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소극장 줄폐업 배경은 무엇일까요?<br /><br />21년간의 역사를 뒤로하고 폐관을 결정한 한얼소극장의 이건동 대표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 '대학로 소극장' 하면 창작의 산실로 불리는 곳인데요. 최근 폐업 소식이 잇따르고 있습니다. 참 안타까운데요. 대표님께서 운영하고 있는 한얼소극장 역시 올해까지만 운영을 하고 폐업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는데요. 폐업 배경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.<br /><br /> 특히 재계약 불가 통보를 받은 날은 특별한 날이었다고 하던데요. 당시 상황이 어땠고, 또 심경은 어떠셨는지요?<br /><br /> 그런데 폐업을 앞둔 소극장이 한얼소극장 뿐만아니라, 여러 곳이더라고요. 대학로 대표 소극장인 '학전'도 33주년을 맞는 내년 3월에 문을 닫는다는 소식이 전해졌는데요. 예술인 동료로서 좀 남다르게 전해졌을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 코로나19 대유행이 끝나면서 뮤지컬과 같은 대형 공연 시장은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데요. 대학로 작은 공연들은 큰 변화가 없는 실정으로 보입니다. 입소문을 탄 극히 일부 연극만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으로 알려졌는데 그런 공연이 일년으로 치면 몇편 정도나 될까요?<br /><br /> 공연을 찾는 수요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데 대형공연과 작은 공연 사이 격차가 점점 심화되는 건 어떤 이유 때문이라고 보시는지요?<br /><br /> 줄폐업 소식이 더욱 안타까운 건, 그동안 연극이 한국 문화예술 역사에 끼친 긍정적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인데요. 대표님도 대학로에서 소극장을 운영해온 게 무려 21년이나 되셨죠? 특히 가족들과 함께 운영을 해오셨다고요?<br /><br /> 여러 대학로 소극장들의 폐관 소식이 전해지자, 정부에서도 소극장 지원 방안 등을 검토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는데요. 대표님이 생각하는 소극장 상생 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